[Java] 7.조건문(if)
자바의 조건문
자바의 조건문
조건문이란 , 주어진 조건에 따라서 다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하는것을 의미한다.
자바에는 if 와 switch라는 2가지의 조건문이 있지만, 이번 포스팅에서는 if에 대해서 먼저 다뤄 보도록 하겠다.
1.if 조건문의 기본 구성
if(조건식){
수행문;
}
기본적으로 if 조건문은 위와 같은 형태로 사용되어진다. 위의 구성에서 조건식과 수행문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 해 보자면, 조건식은 결과가 참, 거짓으로 판별되는 식으로서 참, 거짓 의 값을 가진 변수 또는 상수의 사용이 가능하다. 또한 연산의 결과가 참 , 거짓인 논리 연산자를 주로 사용한다는 점을 알아두면 좋겠다.
수행문은 조건식의 결과가 참일 경우에 실행되는 if 조건문의 블록( {} )안의 문장을 의미한다. 조건문이 참이 될 때에만 실행 되는 문장이기 때문에 , 거짓일 경우에는 당연히 실행되지 않고 넘어간다.
예를 들어 보자면,
a=1;
b=2;
if(a+b>2){
system.out.println("위의 식은 2보다 커요");
}
//라고 한다면, 실행시에 a+b = 3 이므로 if문 안에 주어진 연산자에 따라 3>2 이므로 if 조건문이
//참이 되며 if의 블록( {} ) 안에있는 수행문이 실행된다.
2.if -else문
if(조건식){
수행문;
}else{
수행문;
}
위는 if - else문의 기본적인 사용 구조이고, 이 문장은 조건식을 만독하는 경우와 만족하지 않는 경우를 모두 나타낼 때 사용한다.
눈여겨 보아야 할 특징은 , if 의 조건식이 참일경우 if 안에 있는 수행문을 실행하고 else문은 그냥 지나친다는 것이다. 만약 조건문이 거짓인 경우에는 바로 else의 수행문이 실행되며, if조건문의 실행결과는 적용된다.
또한, else 에는 조건식을 사용할 수 없는데 , 이것은 조건식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만 구현한 것이기 때문이다.
여러개의 분기점을 주고싶다면, 다음에 설명할 if - elseif - … else 문을 사용하도록 하자.